본문 바로가기
알아둬야 할 정보

청년희망적금 출시일 대상 나이 비과세 소득 기준 은행 앱

by 키워드러쉬 2022. 2. 7.
반응형

2022년 2월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이 2월 21일 정식 출시된다고 합니다. 대상자는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의 청년인데요. 군 복무를 통한 병역이행자에 대한 보완장치로 병역 이행기간(최대 6년) 까지는 연령 계산에 산입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런 보완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만 40세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이네요.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려면 대상 나이 외에 추가적으로 소득적인 부분도 살펴봐야 하는데요. 직전 과세기간인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총 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일 경우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종합소득금액 기준은 2,600만 원 이하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충족하면 계좌 개설을 문제없이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청년희망적금은 시중 8개 은행에서 운영하는 앱을 통해 계좌를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요. 정식 출시일인 2월 21일 전에 본인이 가입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미리 보기 서비스는 2월 9일부터 18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은 상품이 정식으로 출시한 후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한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하면 별도의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즉시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에서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하고 대상자로 인정받으면 정식 출시 기간에 KB국민은행에서 별도의 확인 없이 가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첫 주간인 2월 21일부터 2월 25일까지 출생 연도 끝자리 5부제로 운영된다고 하는데요. 21일은 1과 6, 22일은 2와 7, 23일은 3과 8, 24일은 4와 9, 25일은 5와 0으로 출생 연도가 끝나는 분들이 순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준에 맞춰보면 출생 연도를 보면 2003년생부터 1987년생까지 대상이 된다고 볼 수 있겠네요.

 

청년희망적금은 11개 은행에서 취급할 예정으로 알려졌는데요. IBK 기업은행과 BNK 부산, DGB 대구, 광주, 제주은행, 전북, 우리, KEB 하나, 신한, KB 국민은행 그리고 NH농협이라고 합니다. 또 4개월 후 인 6월쯤에는 SC제일은행에서도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네요.

 

 

 

 

미리 보기 서비스는 각 은행 앱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고 계좌 개설은 은행을 방문하는 대면 방식과 앱을 통해 가입하는 비대면 방식 중 편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대상자들의 연령대가 모바일 IT 기기와 친숙한 MZ세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이 압도적으로 많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청년희망적금의 월 납입한도는 최대 50만 원까지 입니다. 만기 기간은 1년과 2년 두 가지 종류로 나눠지며 제공되는 이자에 차이가 있습니다. 만기 기간을 1년으로 설정할 경우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와 저축장려금 2%가 추가 지급되며 2년으로 설정할 경우 추가로 13~24개월 차에 대해 4%의 저축장려금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24개월 간 월 납입 최대한도인 50만 원씩 저축했을 경우 원금은 1,200만 원인데요. 여기에 과세를 면제받은 은행이자 약 62만 원과 저축장려금 36만 원을 더하게 되면 만기 시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약 1,298만 원입니다. 해당 조건은 최대 납입한도를 다 채우고 만기 기간을 2년으로 설정한 것을 기준으로 예상해 본 것입니다.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와 정부에서 추가로 지급하는 저축장려금만 놓고 봤을 때 2년간 총 98만 원이 추가 수익으로 발생하는 것인데요. 월 단위로 나눠 계산해 보면 약 40,800원가량이 매월 적립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납입할 수 있는 한도금액이 크진 않지만 단순히 숫자로만 놓고 봤을 때는 엄청난 메리트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