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종인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일 확진자의 수가 전국적으로 5만 명이 넘어가고 있는데요. 2월 9일 기준으로 5만 4천 명이 넘으면서 2월 10일 5만 3900명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바이러스가 가진 전파력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다고 하며 정부의 방침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에서는 코로나에 감염된 확진자를 일반 군과 위험군으로 나눠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60세 이상의 고령층은 위험관리군으로 의료기관을 통한 건강 모니터링과 각종 지원을 하겠다고 했는데요. 이와 반대로 60세 미만의 일반층은 재택치료를 통해 스스로 물품을 조달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그동안 기본적으로 제공했던 신속항원검사 키트 역시 고위험군을 제외하고는 지원받을 수 없다고 하는데요. 방역당국에서는 물량 부족으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의 반발 후 일반관리군에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토해보겠다고 한 발 물러선 상태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가 발생한지도 벌써 2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는데요. 초기에 KF94 등급 등의 마스크 품절 대란으로 인해 마스크 값이 천정부지로 올랐던 것을 다들 기억하고 있을 겁니다. 현재 자가진단이 가능한 키트가 품절이 되며 마스크 품귀현상을 떠오르게 하는 상황이네요.
설 명절이 지난 뒤 고위험군과 60세 이상의 고령층 그리고 신속항원검사 키트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에게만 PCR 유전자 증폭 검사가 제공되는데요. 이로 이해 선별 별 진료소 혹은 동네에 위치한 호흡기 전문 클리닉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방역 패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가진단키트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시행하지 않으면 음성이 나와도 방역 패스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매하려는 것은 자신이 혹시라도 감염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스러운 마음이 들기 때문일 텐데요. 현재 일부 장사꾼들의 사재기로 인해 가격이 올라 구하기도 쉽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2월 17일부터 온라인에서 검사 키트 판매금지 정책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정책 시행을 결정했다고 하며 가격 역시 제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과거의 학습 효과로 인해 마스크 대란 때보다는 발 빠른 대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안정화될 것으로 보이네요.
국민들은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에 대부분 찬성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재기를 하는 장사꾼들은 정부의 발 빠른 대처로 인해 손해를 볼 것으로 보이는데요. 장사를 하는 것 자체는 나쁘다고 볼 수 없지만 생활에 필수적인 물품을 볼모로 잡고 과도한 이득을 챙기려는 것은 비판받아야 마땅하겠죠.
2월 21일부터는 노인복지시설 및 어린이집 등 감염에 취약한 시설에 대해 검사 키트가 무상 제공된다고 합니다. 현재 검토 중인 사안이지만 유치원과 초등학교에도 학생들을 위해 330만 명 분에 달하는 수량을 무상으로 제공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2월 17일 온라인 판매금지가 실행된 뒤 나머지 물량은 약국과 판매점으로 들어간다고 합니다.
오프라인 판매처인 약국과 판매점도 사재기를 막기 위해 1인이 1회 구매할 수 있는 수량을 제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다만 SNS 중고거래 사이트 혹은 모바일 앱을 통해서 거래되는 것은 정부에서 어떻게 막을지 궁금해지는데요. 현재 안정된 마스크 시장처럼 신속항원검사 키트 역시 대량 공급과 가격 안정화만이 답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알아둬야 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임금 2022 최저시급 연봉 월급 실수령 4대보험 직장인 아르바이트 (0) | 2022.02.13 |
---|---|
메타버스 관련주 뜻 플랫폼 대장주 페이스북 네이버 SK텔레콤 (0) | 2022.02.13 |
게임주 전망 4분기 실적발표 어닝쇼크 엔씨소프트 주가 (0) | 2022.02.11 |
방역패스 qr코드전자출입명부 폐지 검토 백신 미접종자 시설 (0) | 2022.02.10 |
청년희망적금 출시일 대상 나이 비과세 소득 기준 은행 앱 (0) | 2022.02.07 |